통계로 보는 민속예술제

시·도 무형문화재 -지역별 지정 내역

7
9
13
5
12
8
17
12
17
6
2
6
3
11
7
1
2
3
1
3
4
서울 경기
강원
충청
북도
충청
남도
전라
북도
전라
남도
경상
북도
경상
남도
제주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인천 울산 평안
남도
평안
북도
함경
남도
함경
북도
황해

종목별 지정 내역


40

8

10

20

122

10
농악 민속극 민속놀이 민속무용 민요 의례,무속

시·도 무형문화재 : 135개

종목명 출전연도 및 횟수
(최고수상내용)
문화재
지정일자
지정 내용 종목구분
양주별산대놀이
1958년 등 10회
(국무총리상)
1964년
12월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양주별산대놀이
민속극
정선아리랑
1958년 등 4회
(문공부장관상)
1971년
11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리랑
민요
횡성회다지소리
1985년
(대통령상)
1984년
12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3호
횡성회다지소리
민요
강릉오독떼기
1971년
(공로상)
1988년
5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5호
강릉학산오독떼기
민요
양구돌산령 지게놀이
1996년
(국무총리상)
1999년
7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7호
양구돌산령지게놀이
민속놀이
상노리지경다지기
1999년
(대통령상)
2000년
7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9호
철원상노리지경다지기
민속놀이
강릉사천하평답교놀이
2001년 등 3회
(대통령상)
2003년
3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0호
강릉사천하평답교놀이
민속놀이
평창둔전평농사놀이
2002년
(문화관광부장관상)
2003년
4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5-1호
평창 둔전평농악
농악
망상동괴란고청제농악
2007년
(대통령상)
2017년
11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5-3호
동해망상농악
농악
속초도문메나리농요
2003년
(문화체육부장관상)
2007년
2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0호
속초도문농요
민요
양양군수동골상여소리
2010년
(대통령상)
2013년
4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5호
양양 수동골상여소리
민요
양양상북골농요
1986년
(문공부장관상)
2013년
4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6호
양양 상복골농요
민요
고성명태소리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15년
5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7호
고성 어로요
민요
월정사탑돌이
1977년
2016년
11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8호
월정사 탑돌이
민속놀이
광명농악
1995년
(국무총리상)
1997년
9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0호
광명농악
농악
안성남사당풍물놀이
1989년
(대통령상)
1997년
9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1호
안성남사당풍물놀이
농악
송포호미걸이
1988년 등 2회
(공로상)
1998년
4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2호
고양송포호미걸이
민속놀이
통진두레놀이
1997년 등 2회
(대통령상)
1998년
4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3호
김포통진두레놀이
민속놀이
파주금산리두레놀이
2003년
(장려상)
2000년
8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33호
파주금산리민요
민요
포천메나리
1992년
(문화부장관상)
2000년
8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35호
포천메나리
민속놀이
과천무동답교놀이
1982년
(공로상)
2005년
2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4호
과천무동답교놀이
민속놀이
이천거북놀이
1978년 등 2회
(문공부장관상)
2010년
6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0호
이천거북놀이
민속놀이
동두내두레소리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13년
10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5호
동두천민요
민요
한량무
1979년
(장려상)
1979년
5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한량무
민속무용
마산농청놀이
1983년 등 5회
(문공부장관상)
1983년
8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6호
마산농청놀이
민속놀이
감내게줄다리기
1982년 등 2회
(문공부장관상)
1983년
8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7호
감내게줄당기기
민속놀이
진주포구락무
1985년
(문공부장관상)
1991년
12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포구락무
민속무용
화천농악
1963년 등 3회
(대통령상)
1991년
12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3호
함안화천농악
농악
밀양법흥상원놀이
1992년
(공로상)
1993년
12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6호
밀양법흥상원놀이
민속놀이
거창삼베일소리
1993년
(문화관광부장관상)
1995년
5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7호
거창삼베일소리
민요
웅상농청장원놀이
1999년
(장려상)
2002년
4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3호
웅상농청장원놀이
민속놀이
남해선구 줄끗기놀이
1994년
2003년
6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6호
남해선구줄끗기
민속놀이
진주오광대
2001년
(문화관광부장관상)
2003년
6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7호
진주오광대
민속극
마도갈방아소리
2002년
(문화관광부장관상)
2004년
3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8호
사천마도갈방아소리
민요
거창일소리
1993년
(대통령상)
2004년
10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0호
거창일소리
민요
김해오광대
1997년
(장려상)
2015년
3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7호
김해오광대
민속극
함안농요
2012년
(대통령상)
2016년
9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9호
함안농요
민요
거창디딜방아
상여액막이소리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16년
12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40호
거창디딜방아상여액막이소리
민요
마산불모산영산재
2000년
(국무총리상)
2016년
12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41호
불모산영산재
의례
작약산영산재
2004년
(은상)
2019년
8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45호
밀양 작약산 예수재
민속무용
안동논매기
1969년 등 2회
(문공부장관상)
1980년
12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안동저전동농요
민요
영석탈굿
1977년
(장려상)
1980년
12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
영덕별신굿
민속극
청도차산농악
1979년 등 2회
(국무총리상)
1980년
12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4호
청도차산농악
농악
안동놋다리
1958년 등 7회
(장려상)
1984년
12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7호
안동놋다리밟기
민속놀이
예천공처농요
1985년 등 2회
(대통령상)
1986년
12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0호
예천공처농요
민요
상주모내기
1962년 등 6회
(국무총리상)
1987년
5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3호
상주민요
민요
구미발검들
들노래
1991년
(문화부장관상)
1999년
4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7호
구미발갱이들소리
민요
계정들소리
1997년 등 2회
(대통령상)
2005년
7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1호
자인계정들소리
민요
영덕월월이청청
2003년
(국무총리상)
2009년
11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6호
영덕 월월이청청
민속놀이
구미무을농악
1996년 등 4회
(국무총리상)
2017년
1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40호
구미 무을농악
농악
청단놀음
1981년 등 3회
(문공부장관상)
2017년
8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42호
예천청단놀음
민속극
모전들소리
2017년
(대통령상)
2020년
4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46호
문경 모전들소리
민요
거문도뱃노래
1970년 등 2회
(공로상)
1972년
1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호
거문도뱃노래
민요
함평농요
1980년
1977년
10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5호
남도노동요
민요
현천소동패놀이
1981년
1982년
10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7호
현천소동패놀이
민속놀이
담양농악
풍장놀이
2017년
(장려상)
1987년
8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7호
우도농악
농악
진도만가
1978년
(문공부장관상)
1987년
8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
진도만가
민요
우수영부녀농요
1972년 등 2회
(국무총리상)
1987년
8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
우수영부녀농요
민요
장산도들노래
1982년
(국무총리상)
1988년
12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1호
장산도들노래
민요
가거도
멸치잡이소리
1986년
(문공부장관상)
1988년
12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2호
가거도멸치잡이노래
민요
송천달집태우기
1988년
(국무총리상)
1994년
1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4호
송천달집태우기
민속놀이
고흥농악
1992년
(문화부장관상)
1994년
12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7호
고흥월포농악
농악
고흥한적들노래
1989년
(문공부장관상)
1996년
10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0호
고흥한적들노래
민요
진도닻배놀이
1994년
(문화관광부장관상)
2006년
12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40호
조도닻배노래
민속놀이
무안들노래
2002년
(공로상)
2006년
12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41호
무안상동들노래
민요
상문살굿
1996년
(문화부장관상)
2008년
12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43호
순천삼설양굿
민속놀이
담양들노래
1985년
(문공부장관상)
2009년
12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46호
담양 황금리 들노래
민요
갈곡들소리
2004년
(대통령상)
2013년
8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53호
영암 갈곡리 들소리
민요
전어잡이시연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13년
12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57호
광양 진월 전어잡이 소리
민속놀이
익산목발노래
1971년 등 4회
(문공부장관상)
1973년
6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익산목발노래
민요
호남우도정읍농악
1991년 등 4회
(문화관광부장관상)
1996년
3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2호
정읍농악
농악
김제농악 마당굿과
도둑잽이굿
2015년
(동상)
1996년
3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3호
김제농악
농악
봉서사영산작법
1988년
(대통령상)
1998년
1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8호
영선작법보존회
민속무용
금과들소리
2002년 등 3회
(대통령상)
2005년
3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2호
금과들소리
민요
고창오거리당산제
1988년 등 3회
(대통령상)
2007년
7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7호
고창오거리당산제보존회
의례
익산금마기세배
1977년 등 3회
(문공부장관상)
2000년
11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5호
익산기세배보존회
민속놀이
전주기접놀이
2005년 등 4회
(대통령상)
2018년
3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63호
전주기접놀이보존회
민속놀이
해녀놀이
1969년 등 4회
(문공부장관상)
1971년
8월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1호
해녀노래
민속놀이
영감놀이
1967년
(대통령상)
1971년
8월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2호
영감놀이
민속놀이
방아돌굴리는노래
1980년
(대통령상)
1986년
4월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9호
방앗돌굴리는노래
민요
멸치후리는노래
1976년
(국무총리상)
1986년
4월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10호
멸치후리는노래
민요
검질메는노래
1978년
(공로상)
2005년
10월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17호
진사대소리
민요
귀리겉보리
농사일소리
2005년 등 3회
(대통령상)
2007년
2월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18호
귀리겉보리농사일소리
민요
산유화가
1976년
(문공부장관상)
1982년
12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호
산유화가
민요
붕기풍어놀이
1977년
(대통령상)
1991년
7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2호
황도붕기풍어제
민속놀이
저산팔읍길쌈놀이
1982년 등 2회
(국무총리상)
1991년
7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3호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민속놀이
연산백중놀이
1990년
(국무총리상)
1991년
7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4호
연산백중놀이
민속놀이
금산물페기농요
1991년
(국무총리상)
1992년
8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6호
금산 물페기농요
민요
홍성결성농요
1993년 등 2회
(대통령상)
1996년
11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
결성농요
민요
부여용정리
호상놀이
1992년 등 2회
(대통령상)
1997년
12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2호
부여용정리상여소리
민속놀이
서산지점놀이
2002년
(장려상)
2000년
1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6호
서산박첨지놀이
민속놀이
농바우끄시기
1999년 등 2회
(문화관광부장관상)
2000년
9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
금산농바우끄시기
민속놀이
선학리지게놀이
2000년
(장려상)
2004년
4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7호
공주선학리지게놀이
민속놀이
안섬풍어당굿놀이
1994년
(문화관광부장관상)
2001년
6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5호
당진안섬당제
민속놀이
의당집터다지기
2008년
(은상)
2013년
3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5호
공주 의당 집터다지기
민속놀이
금산농악
1983년
(국무총리상)
2016년
9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53호
금산농악
농악
청주전통농악
1984년 등 4회
(문공부장관상)
1992년
10월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청주농악
농악
탄금대방아타령
1972년
(대통령상)
1994년
12월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5호
충주 마수리 농요
민요
영동 설계리농요
1975년 등 2회
(대통령상)
1996년
1월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6호
영동 설계리 농요
민요
오티별신제
2005년
(장려상)
2001년
2월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8호
제천오티별신제
민속놀이
생거진천농요
2000년
(문화관광부장관상)
2003년
3월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1호
진천 용몽리농요
민요
용전들노래
1999년
(국무총리상)
2014년
7월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2호
용전들노래
민요
광산농악
1989년 등 4회
(문화부장관상)
1992년
3월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
광산농악
농악
고산농악
1982년 등 2회
(문공부장관상)
1984년
7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고산농악
농악
날뫼북춤
1983년 등 6회
(문공부장관상)
1984년
7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
날뫼북춤
민속무용
욱수농악
1987년
(문공부장관상)
1988년
5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
욱수농악
농악
비산농악
1984년 등 6회
(문공부장관상)
1989년
6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천왕메기
농악
대구공산민요
1989년 등 3회
(문화부장관상)
1990년
5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
공산농요
민요
달성하빈들소리
2004년 등 2회
(문화체육부장관상)
2008년
4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6호
달성하빈들소리
민요
대전웃다리농악
2016년
(은상)
1989년
3월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웃다리농악
농악
들말두레소리
1996년 등 2회
(대통령상)
2002년
12월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들말두레소리
민요
무수동산신토제
마짐대놀이
2008년
(은상)
2011년
10월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9호
무수동산신제
민속놀이
수영농청놀이 13)
1980년 등 10회
(문화체육부장관상)
1972년
2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
수영농청놀이
민속놀이
동래학춤
1976년 등 5회
(동상)
1972년
9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
동래학춤
민속무용
동래지신밟기
1971년 등 7회
(문공부장관상)
1977년
11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동래지신밟기
민속놀이
부산농악
1968년 등 9회
(문화관광부장관상)
1980년
2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부산농악
농악
다대포후리소리
1987년 등 3회
(은상)
1987년
7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
다대포후리소리
민요
부산영산재
1992년
1993년
4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호
부산영산재
의례
동래고무
1988년 등 2회
(공로상)
1993년
12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호
동래고무
민속놀이
구덕망깨터
다지기
2004년 등 6회
(동상)
2001년
10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1호
구덕망깨소리
민요
동래한량춤
1996년 등 3회
(문화관광부장관상)
2005년
12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
동래한량춤
민속무용
고분도리걸립
2006년 등 2회
(은상)
2011년
3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8호
부산고분도리걸립
농악
수영지신밟기
2008년 등 2회
(장려상)
2014년
1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2호
수영지신밟기
민속놀이
답교놀이
1969년 등 5회
(문공부장관상)
1989년
8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호
송파다리밟기
민속놀이
장안골편사놀이
1992년
(장려상)
2000년
4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7호
장안편사놀이
민속놀이
바위절마을
호상놀이
1990년 등 4회
(은상)
1996년
9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0호
바위절마을호상놀이
민속놀이
남이장군놀이
1999년 등 2회
(공로상)
1999년
7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사당제
민속놀이
마들농요
1996년 등 4회
(공로상)
1999년
12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2호
마들농요
민요
마포나루굿
1995년
(공로상)
2005년
1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5호
밤섬도당굿
민속놀이
수표교다리밟기
1997년 등 5회
(문화관광부장관상)
2009년
3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40호
수표교 다리밟기
민속놀이
쇠부리놀이
1999년 등 6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19년
12월
울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
울산쇠부리소리
민속놀이
강화용두레질노래
1986년 등 3회
(대통령상)
2003년
11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2호
강화 용두레질소리
민요
인천근해도서지방의
상여소리
1998년 등 2회
(문화관광부장관상)
2006년
1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6호
인천근해 도서지방 상여소리
민요
서곶들노래
2006년 등 2회
(동상)
2008년
12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8호
서곶들노래
민요
서해안일노래,
시선뱃노래
1977년 등 5회
(문공부장관상)
1988년
12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
인천근해 갯가노래 뱃노래
민요
인천주대소리
1988년 등 3회
(문공부장관상)
1992년
5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호
주대소리
민요
외포리곶창굿
1996년
(공로상)
1997년
7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
강화 외포리 곶창굿
민속놀이
평양검무
1992년 등 21회
(금상)
2001년
2월
평안남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1호
평양검무
민속무용
향두계놀이
2009년 등 4회
(대통령상)
2009년
8월
평안남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2호
평안도 향두계놀이
민속놀이
영변성황대제
1972년 등 22회
(문공부장관상)
2007년
10월
평안북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2호
영변성황대제
민속놀이
평안도다리굿
1990년 등 14회
(금상)
2007년
10월
평안북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3호
평안도 다리굿
민속놀이
평북농요
2018년
(은상)
2016년
4월
평안북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4호
평북농요
민요
돈돌날이
1972년 등 24회
(문화부장관상)
1998년
11월
함경남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1호
돈돌날이
민요
애원성
1971년 등 13회
(은상)
2005년
6월
함경북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1호
애원성
민요
두만강뗏목노래
1981년 등 7회
(장려상)
2007년
6월
함경북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2호
두만강뗏목놀이소리
민요
백두산선녀춤
2012년 등 2회
(장려상)
2018년
5월
함경북도 이북5도 무형문화제 제3호
함북 선녀춤
민속무용
만구대탁굿
2008년 등 4회
(장려상)
2005년
11월
황해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1호
만구대탁굿
의례
놀량사거리
2011년 등 2회
(장려상)
2009년
8월
황해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3호
서도선소리산타령 놀량사거리
민요
황해도화관무
2013년 등 2회
(장려상)
2011년
8월
황해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4호
화관무
민속무용
최영장군당굿
작두거리
2014년 등 2회
(장려상)
2011년
8월
황해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5호
최영장군 당굿
의례

 



여러 연구에서 지적된바와 같이 한국예술은 종목을 정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강릉단오제(중요무형 제13호)의 경우, 민속놀이와 의례, 축제의 성격을 모두 갖고 있으며, 기록에도 종목구분이 흩어져 있다.
같은 이름으로 참가한 종목일지라도 참가년도 단체와 심사위원 기록에 의해 종목이 다르게 기록된 사례가 매우 많다.
(50년사 책도 마찬가지)
또한 의례형식인 굿 종목을 민속축제에서 연행하면서 민속극이나 민속놀이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도 많다.
본 표에서는 가장 많이 분류된 종목을 참고했다.





주최
 
 
주관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