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병영서낭치기

 울산광역시 병영동은 옛날 경상좌도 병마절도사가 주영했던 영성지였다.

울산병영서낭치기는 정월대보름에 연행되었는데 지신밟기(울산매귀악), 줄다리기(마두희), 달집태우기, 씨름 등의 세시풍속과 함께 병행, 연행되었다. 그래서 병영서낭치기와 세시풍속과의 영향관계는 더 확실해진다. 울산병영서낭치기는 울산의 대표적 세시풍속 민속놀이로써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이 풍속은 영조 25년 1749년에 나온 "학성지"에 기록되었다.

울산병영서낭치기는 다른 지역에서 흔히 발견되지 않는 독특한 형식의 연희이다.

울산병영서낭치기는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병영지역을 4방위의 집단으로 나누어 각 방위에 따라 풍물패들이 붉은 두루마기에 붉은 모자를 쓰고 역시 오방색의 깃대를 앞세워 집집마다 풍물을 치면 가호마다 음식을 대접하고 돈을 주었다고 전해지며 달이 떠오를 시간에 맞추어 달집을 사르고 기싸움과 풍물겨루기(개인놀음) 등으로 판을 벌렸다고 한다. 

울산의 병영은 고려시대 이후로 울산지역의 병기 창고이자 군수물자를 저장하는 지역이었으므로 군사적 문화가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지역이다. 이는 단순한 민속놀이의 개념에 이러한 군사적 행위들이 폭넓게 융합되어 합동적인 의례적 연희가 이루어지는 계기를 만들어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병영서낭치기는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병영지역을 4동네(동서남북+중앙풍물패)로 구분하여 각 방위에 따라 풍물패들이 5방색의 복식을 갖추어 입고, 5방색의 작은 서낭기를 앞세 워 집집마다 풍물을 쳐주면, 각 집에서는 음식을 대접하고 돈을 주었다고 한다.

마을의 액을 물리치는 기두와 골매기할배와 큰골매기 할매와 작은 골매기 할매와의 회화적 놀이 또한 당시의 놀음을 잡색으로 표현이 된다. 

큰 서낭대에 모두가 함께 모여 기싸움과 풍물겨루기(개인 놀음) 등으로 판을 벌이고 작은 기를 불사르면서 판이 마무리 된다.

그동안 산업도시로 성장해온 울산에서 전승이 끊겼지만, 병영을 중심으로 한 울산의 풍물 패들이 매년 정월 대보름을 기해 동네별로 시행해오던 지신밟기를 보다 전통적으로 재현하 여 울산의 문화유산으로 삼고자 재구성한 작품이다.

 


주요 장면 구성

1. 앞놀이 (입굿~강신~합굿)

각 동별로 풍물패가 서낭대를 중심으로 모여서 지신을 밟고 서낭기로 신을 옮기는 연희를 한다.

2. 합굿 (백희~서낭치기)

각 동 풍물패가 연희놀이를 펼치며 기싸움과 풍물겨루기(뺏기)가 시작된다. 기 싸움을 이기는 동이 파종과 추수가 잘 된다고 믿어졌다.

3. 송신 (샘굿~대동놀이)

샘이 마르지 않고 정화를 비는 샘굿을 하고 마을의 네거리에 등걸이를 모아놓고 기와 탈을 태우며 대동놀이를 한다.